중소기업의 성공적인 ESG 이행: SASB 표준 활용 및 데이터 구축 전략

지속가능경영 전문가가 제시하는 실질적인 보고서 제작 로드맵과 측정 기준

I. 지속가능경영보고의 핵심, SASB 표준을 이해해야 하는 이유

중소기업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작성할 때 가장 먼저 부딪히는 난관은 ‘무엇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입니다. 글로벌 표준인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는 포괄적인 지침을 제공하지만, 중소기업에게는 방대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때 SASB(Sustainability Accounting Standards Board) 보고 표준은 회사가 소속된 산업군에 특화된 회계 지표를 제공하여, 실무진의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여줍니다. SASB는 산업의 특성에 따라 재무적 중요성(Financial Materiality)이 높은 핵심 이슈만을 선별하여, 중소기업이 자원 낭비 없이 보고서의 품질을 높이는 데 결정적인 도움을 줍니다.

SASB 표준의 구조적 특징과 중소기업 적용 방안

  • SICS(Sustainable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 분류 체계: SASB는 기업을 11개 섹터, 77개 산업군으로 정교하게 분류합니다. 중소기업은 이 체계를 활용하여 자신의 산업군을 명확히 식별하고, 해당 산업에 맞는 표준화된 지표만을 수집함으로써 불필요한 데이터 수집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 정량적/정성적 지표의 균형: SASB 지표는 ‘회계 지표’를 중심으로 정량적 데이터를 요구하여 보고서의 객관성을 확보하는 데 유리합니다. 예를 들어, ‘총 에너지 소비량’과 같은 정량적 지표와 함께 ‘경영진의 윤리 강령 준수 노력’과 같은 정성적 설명을 요구하여 보고서의 깊이를 더합니다.

II. 보고서 제작의 4단계 프로세스: 중소기업중앙회 매뉴얼 분석

중소기업중앙회 매뉴얼은 총 4단계의 체계적인 보고서 제작 프로세스를 제시합니다. 특히 중소기업의 현실을 반영하여, 각 단계별로 최소한의 자원을 투입하여 최대의 효율을 낼 수 있는 실무적 접근이 강조됩니다. 다음은 각 단계별 핵심 실행 과제를 정리한 표입니다.

단계 핵심 프로세스 주요 실행 과제 (중소기업 포커스)
1단계 준비 단계 TFT 대신 **경영지원팀 주도**의 담당자 1~2인 지정, 보고서 **범위와 목표 주제** 간소화
2단계 제작 단계 SASB 기반 **핵심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경영 비전과 연계한 **콘텐츠 스토리텔링** 강화
3단계 검증 단계 외부 검증 대신 **내부 경영진 검토** 우선, 오류 및 모호한 표현 최소화에 집중
4단계 공개 단계 **웹페이지 또는 간소화된 PDF**로 공개, 핵심 이해관계자(고객사, 금융기관)에 직접 공유

III. 성공적인 ESG 보고를 위한 데이터 구축 및 관리 전략

보고서 작성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려면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 시스템이 필수입니다. 특히 중소기업은 ERP나 복잡한 시스템 구축이 어렵기 때문에, 기존의 관리 체계를 최대한 활용하는 실용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

1. 데이터 수집의 기본 원칙: 정확성, 정합성, 연속성

  1. 정확성 (Accuracy): 데이터 출처와 계산 방식이 명확해야 합니다. 환경 데이터는 공공요금 고지서, 사회 데이터는 인사 기록부 등 공식 문서에 기반해야 신뢰를 얻을 수 있습니다.
  2. 정합성 (Consistency): 전년도와 비교할 수 있도록 데이터 측정 단위와 기간을 일관되게 유지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전력 소비량을 ‘kWh’로 정했다면 매년 동일한 단위로 측정해야 합니다.
  3. 연속성 (Comparability): 데이터는 반드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추이를 보여줄 수 있도록 누적 관리되어야 합니다. 최소 3개년치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 SASB 지표 활용 사례: TC-IM-130a.1 (하드웨어 인프라의 환경 발자국)

하드웨어 인프라(제조업, IT 서비스업 일부 포함) 관련 산업군에 속한 중소기업이 SASB의 ‘환경 발자국’ 지표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설명합니다.

적용 지표: TC-IM-130a.1 (총 에너지 소비량 및 구성 비율)

이 지표는 총 에너지 소비량(MWh 또는 GJ)을 측정하고, 그중 **그리드 전력(외부 구매 전력) 비율**과 **재생 에너지 비율**을 공개하도록 요구합니다. 중소기업은 이 지표를 통해 에너지 효율 개선 노력을 정량적으로 입증할 수 있습니다.

  • **실무 데이터 소스:** 월별 전기, 가스, 유류 고지서, 태양광 발전 기록(있는 경우).
  • **보고 효과:** 에너지 절감 목표 대비 실적 공개,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 노력 어필.
구분 2023년 실적 2024년 목표 주요 활동
총 에너지 소비량 1,200 MWh 1,100 MWh 고효율 설비 투자 및 피크타임 절전 강화
재생 에너지 비율 5% 10% RE100 캠페인 참여 검토 및 녹색 프리미엄 요금제 활용

IV. 중소기업의 장기적 가치 창출을 위한 제언

결국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기업의 재무적 성과와 비재무적 성과를 통합적으로 보여주는 ‘경영 전략서’와 같습니다. 중소기업은 이 보고서 작성을 통해 단순히 규제를 준수하는 것을 넘어, 기업의 내부 효율성을 높이고, 인재를 유치하며, 선도적인 기업 이미지를 구축하는 **장기적인 성장 동력**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선제적으로 투명한 보고서를 발간하고 ESG 목표를 설정한 중소기업은 향후 정부의 지원 정책, 금융권의 친환경 투자(Green Financing) 등 다양한 기회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하게 될 것입니다. 지금 당장의 부담보다는, 3년 뒤의 기업 가치 상승을 목표로 보고서 작성을 시작하는 것이 현명한 접근입니다.

본 콘텐츠는 중소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심도 있는 경영 분석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제시된 정보는 중소기업중앙회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매뉴얼 및 관련 글로벌 표준을 참고하여 독창적으로 구성되었습니다.

댓글 남기기